-
1인가구 식비 관리 비법 : 월 20만원으로 똑똑하게 사는 법1인 가구 2025. 7. 23. 15:51
혼자 살면 가장 부담스러운 고정비는 주거비와 관리비지만, 그다음으로 만만치 않은 것이 바로 식비입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1인가구의 평균 월 식비는 약 30만~50만원 수준. 그러나 조금만 신경 쓰면 월 20만원 내외로도 충분히 건강하고 알뜰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식비 관리 노하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누구나 1인가구 식비 관리를 훨씬 똑똑하게 할 수 있을 거예요.

계획이 반이다 : 가계부로 식비 예산부터 잡자
대부분의 1인가구는 “대충 이 정도면 되겠지” 하고 장을 보거나 외식을 합니다. 그러다보면 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나죠. 가장 먼저 할 일은 월 식비 예산을 정하고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번 달에는 20만원으로 살아보자”고 목표를 잡고, 장보기·외식·배달비를 따로 기록하세요. 요즘은 카카오페이나 뱅크 앱에서 자동으로 분류해주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금액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메뉴에 얼마를 썼는지”까지 메모해보세요. 그 기록이 쌓이면 ‘어디서 과소비를 하고 있는지’가 한눈에 보입니다.월간 식비 계획 짜기
가장 현실적인 목표는 월 20만원 식비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선 우선 월간 식비를 아래처럼 크게 나눠서 계획하세요.
구분 예산 주요 내용 장보기 약 12~14만원 마트, 전통시장, 온라인몰 이용 외식/배달 약 4~5만원 주말 또는 지인 모임으로 한정 커피·간식 약 1~2만원 대용량으로 사두기 & 집에서 먹기 이렇게 큰 틀에서 계획을 잡으면 ‘이번 달 외식 너무 많이 했나?’ 하는 지표가 생깁니다.
가계부 앱에 카테고리를 나눠서 입력하면 자동으로 분석되니 꼭 활용해 보세요.외식과 배달 줄이기 : 식비의 가장 큰 지출 구멍
검색 결과를 봐도 공통적으로 나오는 내용이 바로 외식과 배달 줄이기였습니다. 사실 1인가구가 월 식비를 20만원대로 유지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배달과 외식입니다.
1인분 배달 음식이 1만원이 훌쩍 넘는 시대, 주 3회만 시켜도 12만원이 훅 나갑니다. 여기에 커피, 디저트, 술 약속까지 포함하면 답이 없죠. 그래서 현명한 사람들은 아예 배달앱을 지우거나 최소한 알림을 꺼둡니다.
배달 대신 밀키트, 혹은 즉석조리 제품을 이용하면 절약도 되고 건강도 챙길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배달은 딱 주말만 허용하고 평일은 직접 조리”하는 방식으로 월 식비를 15~20만원까지 낮춘 사례가 아주 많습니다.외식과 배달은 ‘보상 개념’으로
배달과 외식은 완전히 끊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아예 ‘보상 개념’으로 두세요.- 평일엔 집밥, 주말 저녁만 배달 혹은 외식
- 한 달에 4번 정도만 외식
이렇게 하면 한 달 배달·외식비 4~5만원 선에서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돈을 초과하면 그 달은 끝. 이렇게 엄격히 선을 그어야 계획이 유지됩니다.배달비 절감하는 꿀팁 자료도 공유드립니다.
[1인 가구] - 배달비 이제 그만! 혼자 사는 자취생을 위한 배달비 절감법
장보기는 ‘필요한 만큼’ : 소포장과 냉장고 재고파먹기
자취생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대형마트에서 “이게 싸네?” 하고 대량으로 사서 결국 절반 이상을 버리는 것입니다. 1인가구는 냉장고 공간도 작고 식재료가 금방 상하기 때문에 소포장을 사는 것이 훨씬 이득입니다.
또 중요한 게 바로 냉장고 재고파먹기. 주기적으로 냉장고를 열어 유통기한이 임박한 재료부터 처리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이 작은 습관이 쓰레기통으로 들어갈 돈을 훌쩍 줄여줍니다. 실제 네이버 블로그, 카페 등에서도 “냉장고에 ‘우선 소비 리스트’를 붙여두고 관리하라”는 팁이 굉장히 많이 올라오더군요.냉장고 재고 관리 : ‘창고’처럼 운영하기
많은 1인가구가 냉장고를 그냥 보관용으로만 씁니다.
하지만 현명한 사람들은 냉장고를 ‘재고 창고’처럼 운영합니다.- 유통기한 임박한 것부터 소비
- 유통기한 지나서 버리는 쓰레기 줄이기 - 냉동실에는 단백질(닭가슴살, 계란, 두부, 어묵) 위주로 비축
- 단백질로 든든하게 배 채우기 - 작은 야채(대파, 양파, 버섯)는 소분 후 냉동
- 남기는 쓰레기 없애고 구매빈도를 줄이기 - 반찬도 한번 만들 때 2~3끼 분량만 만들어서 냉장 보관
- 구매회수를 줄여서 나가는 비용 줄이기
냉장고 문에 ‘우선 소비 리스트’를 붙여두면 훨씬 실천하기 쉽습니다.
주간 식단표가 당신을 살린다
충동구매를 막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바로 주간 식단표입니다.
“이번 주에는 계란, 시금치, 닭가슴살, 두부, 고등어로 돌려먹자.” 이런 식으로 메뉴를 미리 계획하면 장볼 때도 필요한 것만 사게 되고, 쓸데없는 냉동·간편식을 사는 일이 줄어듭니다.
그리고 바쁜 날에는 밀키트를 적극 활용하세요. 요즘은 1인분 밀키트가 정말 잘 나오기 때문에 번거롭게 식재료를 따로 사서 버리는 일도 없습니다.주간 장보기 전략 : 테마별 쇼핑
주간 장보기를 할 때는 테마를 정하면 훨씬 낭비가 줄어듭니다.
- 이번 주는 닭가슴살+계란+시금치 주간
- 다음 주는 돼지고기+브로콜리+두부 주간
이렇게 하면 메뉴 고민도 줄고, 장바구니가 단출해집니다.
그리고 ‘오늘 할인하는 것’을 무작정 담지 말고 이미 계획한 메뉴에 필요한 것만 구입하세요.커피, 간식, 술… 생활 속 작은 사치를 줄이자
식비를 아끼겠다고 밥만 줄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커피, 간식, 술이 식비를 잠식하는 주범입니다.
아침마다 카페에 들러 커피를 사 마시고, 오후에는 편의점에서 과자나 아이스크림을 사 먹는다면? 그게 다 한 달 식비에 포함됩니다.
직접 집에서 커피를 내려 먹고, 간식은 대형마트에서 대용량을 사 두었다가 조금씩 먹는 식으로 바꾸세요.
술은 더 말할 것도 없죠. 1인가구라면 집에서 간단히 맥주 한 캔 정도로 끝내는 습관을 들이세요.현실적인 식비 관리 예시 : 이렇게 하면 월 20만원도 가능하다
실제 1인가구 블로그를 참고해 보면 이런 식비 루틴이 많이 보입니다.
- 주 1회 5만원 정도만 장보기
- 평일 저녁과 주말 점심은 직접 요리, 주말 저녁만 외식 또는 배달
- 아침은 간단하게 시리얼이나 빵, 달걀
- 냉동실에 밑반찬을 소분해 두고 돌려 먹기
- 가계부 앱으로 매일 식비를 기록
이렇게만 해도 월 20만원 선에서 식비를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이 루틴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입니다.
실제 적용 가능한 주간 식단표 예시
월 20만원 현실 루틴(1인분 기준)
요일 아침 점심 저녁 월 계란후라이+샐러드 닭가슴살+현미밥+김치 된장찌개+두부+쌈 화 토스트+사과 오므라이스 잔치국수+김치 수 시리얼+우유 샐러드파스타 삼치구이+밥+쌈채소 목 계란+토마토 김치볶음밥 어묵탕+두부조림 금 바나나+요거트 비빔국수 고등어조림+밥+김치 토 삶은고구마+계란 치킨(주말보상) 샐러드 or 샌드위치 일 베이글+크림치즈 집에서 떡볶이 라면 or 간단 잔반처리 - 아침은 대부분 간단하게 ‘계란+과일+빵’ 패턴
- 점심은 주말에 미리 만들어둔 밑반찬 활용
- 저녁은 최대한 국·찌개 중심으로 푸짐하게
- 주 1회 치킨 or 외식으로 스트레스 해소
이렇게 하면 냉장고 재료 소비도 계획적으로 가능하고, 충동배달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현실적인 팁 5가지 정리
- 배달앱 알림 OFF, 주중엔 아예 열지 않기
- 가계부에 ‘식비 지출 알림’ 기능 켜기
- 1인분 소포장 구매, 대형마트보다는 동네마트·온라인몰 비교
- 밀키트는 1인분 위주로 사서 식재료 낭비 줄이기
- 유통기한 지난 재료는 버리되, 유통기한 임박은 오늘 메뉴로!
마치며 : 식비도 결국 습관이다
1인가구 식비 관리, 처음에는 귀찮고 불편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익숙해지면 오히려 돈이 어디로 새는지 훤히 보이고, 미래에 더 중요한 곳에 쓸 돈을 아낄 수 있다는 사실에 뿌듯해질 거예요.
당장 오늘부터라도 가계부를 쓰고, 냉장고를 열어보며, 이번 주 식단표를 짜보세요.
당신의 한 달 식비는 어느새 20만원으로도 넉넉히 돌아가고 있을 겁니다.'1인 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비 월 3만원 아끼는 알뜰 전략, 1인가구 실속팁 (10) 2025.07.24 배달비 이제 그만! 혼자 사는 자취생을 위한 배달비 절감법 (6) 2025.07.23 혼밥러를 위한 다이어트 도시락 구독 솔직 후기 (5) 2025.07.13 1인가구 생활 꿀팁, 혼자 살아도 든든한 싱글 라이프 가이드 (7) 2025.07.13 혼자 사는 집 쓰레기 관리 이렇게 하면 초파리·냄새 걱정 끝 (1) 2025.07.12